소비자물가 뭘까? 소비자물가지수 파헤쳐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함을 파헤쳐 드리는 남자 궁파남 구르는돌입니다!!
오늘은 소비자물가 또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소비자물가가 소비자물가지 그게 뭐야~ 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왜 관심을 가지게 되었냐? 하면 실은 오늘 아침 뉴스 속보에 이런 뉴스가 나와서입니다.
소비자물가가 대체 뭐길래 아침부터 이렇게 뉴스속보로 나오는지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소비자물가의 단어적 의미를 몰라서 궁금해진 것은 아닙니다. ㅎㅎ
그렇지만 소비자물가는 어떤 시스템으로 산정을 하는지 6.3%가 얼마나 큰 수치인지 확 다가오지 않는다고 할까요..
그래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소비자물가란?
소비자물가지수는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현재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을 기준으로 수치를 정하고 있습니다.
즉, 2020년의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정하고 지금 2022년 7월 현재의 물가지수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뉴스에서 나오는 6.3% 상승은 조금 다릅니다. 뉴스 그대로 작년 7월 대비 6.3%(!!!!)나 올랐다는 것이지요~
그렇게 생각하면 참 많이 오른 것 같아요~ 사실 이 생각은 그전부터 생각했었지만 요즈음 특히 많이 올랐다는 것을 피부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보니 현재 2020년 기준 월별로는 108.74이니 8.74%나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년 사이에 즉, 20201년 7월 기준으로는 6.3%나 오른 것이니 1년 사이에 어마어마하게 물가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무려... 2020년 기준 가중치를 적용 계산한 가중산술평균 방식을 사용한답니다....(라스파이레스 산식....)
또한 지수를 계산하는 기준으로는
1. 농산물및 석유류제외지수
계절적인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며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곡물 외의 농산물과 석유류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2.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농산물과 석유류 외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전기, 지역난방비 등의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3. 생활물가지수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크게 이렇게 3가지가 있고 그 외에도 신선식품지수, 지출목적분류지수, 자가주거비포함지수, 품목성질별지수 등 다 합쳐서 7가지를 비교하여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한다고 하네요~
마무리하며 든 생각은 점점 소비자물가가 체감적으로도 크게 올랐고... 더 심각한 것은 1998년 11월 이후 23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저 때는 IMF 외환위기 때인데 거의 그 때만큼 올랐다고 생각하니 갑자기 기분이 우울해 지는 것은 저뿐일까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일은 또 어떤 주제로 찾아올지 기대해주시고 비록 어두운 뉴스를 주제로 삼았지만 이제 소비자물가지수가 뉴스나 신문에서 나오면 조금은 아는 척 하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그럼 다음 시간에 봐요~ 꾸벅!!
'유용한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포드 브롱코 자동차 4도어 아우터 뱅크스 스펙 연비 가격 디자인 (0) | 2022.08.08 |
---|---|
배우 이정재 나이 학력 군대 키 가족 여자친구 작품활동 명대사 (0) | 2022.08.07 |
다누리호 뭘까? 다누리호에 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 (0) | 2022.08.05 |
작두콩차 뭘까? 작두콩차에 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 (0) | 2022.08.04 |
진득찰 뭘까? 진득찰에 대해 파헤쳐보겠습니다~ (0) | 2022.08.01 |
댓글